건강상식 비만을 알아보자
건강상식 비만을 알아보자 |
비만이란 의학적으로 채내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진 상태를 말합니다.
비만은 고혈압, 당뇨병, 고지혈증, 심장병(관상동맥질환), 뇌졸중, 관절염 등 수 많은 질병발생의 중요한 위험요인일 뿐 아니라
그 자체로도 쉬 피로감,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일상행동에 지장을 줌으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 할 수 있죠.
비만이 가져다주는 위험
▲평균 수명이 단축된다.
▲당뇨병, 고혈압, 뇌졸중, 심장병 등이 잘 생긴다.
▲호흡곤란, 수면 무호흡 증후군이 잘 온다.
▲남성의 경우 대장암과 전립선암, 여성의 경우 자궁암, 난소암, 담낭암과 유방암이 잘 생긴다.
▲정신적 스트레스가 심하다.
비만의 판정
체내 지방분포를 측정하여 남성의 경우 20% 이상, 여성의 경우 30% 이상일 때 비만증이란 진단을 내리게 된다.
하지만 체지방 측정은 그 방법이 쉽지 않고 특수한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만판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.
■표준체중을 이용한 계산법
표준체중={신장(cm)-100}×0.9, 실제체중이 표준체중보다 얼마나 초과되어 있는지 비만도를 구한다.
비만도(%)=실제체중-표준체중/표준체중 × 100
비만도가 120%를 넘으면 비만으로 판정한다.
■체질량지수 체중을 m단위로 측정한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표중체중보다 체지방량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다.
체질량 = 체중(kg) / [신장]㎡
아시아 성인의 체질량 지수
정상 ㅣ 18.5 ㅣ
과체중 ㅣ 23~25 ㅣ
비만 ㅣ 25~30 ㅣ 1단계 비만
고도비만 ㅣ 30이상ㅣ 2단계 비만
■복부비만 측정법
지방이 주로 허리에 축전된 비만을 복부비만 또는 남성형 비만이라고 하는데, 당뇨병, 고혈압, 고지혈증 같은
주요 비만의 합병증은 바로 이 복부 비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.
복부 비만은 간단히 허리둘레를 엉덩이로 나눈 값인 허리-엉덩이 둘레비를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.
이 값이 남성은 0.9, 여성은 0.8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판정을 내린다.
허리둘레는 내장지방과 상관관계가 높고,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도 아시아인 경우
성인남자:90㎝(36인치), 성인여자:80㎝(32인치) 이상이면 질병 위험이 증가한다.
'세상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대 일반인 여신 변정하 (2) | 2018.07.29 |
---|---|
은행 평균연봉 1억 성과급잔치~ (1) | 2018.07.29 |
오일풀링 제대로 알아보자! (1) | 2018.07.26 |
내아이디는 강남미인 캐스팅대박! (1) | 2018.07.25 |
BTS 기록소년단 또 기록갱신 ! (2) | 2018.07.25 |
